2023년 1회 필기 기출문제
시험 요약
100 문제 중 0 완료
문제:
정보
이전에 시험을(를) 이미 완료했습니다. 재응시 할수 없습니다.
시험 이(가)로드 중입니다 …
시험을(를) 시작하려면 로그인하거나 등록해야 합니다.
먼저 다음을 완료해야 합니다:
결과
결과
100개의 문제 중에서 0개를 맞추셨습니다. (채점 필요는 제외)
시간:
시간이 경과했습니다
0 점수 중 0에 도달했습니다. (0)
획득 점수: 0의0, (0)
0 에세이 대기 중 (가능한 점수 : 0)
카테고리
- 카테고리되지 않음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현재
- 리뷰
- 답변 됨
- 정답
- 오답입니다.
-
100 중 문제 1
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기억왜곡
일시성, 방심, 차폐, 오귀인, 피암시성, 집착 등에 의해 일어난다.
이러한 기억의 왜곡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반복학습, 연합을 통한 인출단서 확대, 기억술 사용 등이 있다. -
100 중 문제 2
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행동조성은 학습하기를 원하는 행동이나 기술을 습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이 나타날 때 이를 ‘강화’함으로써 원하는 행동을 점진적으로 학습한다. -
100 중 문제 3
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협력 억제(Colaboralive Inibion) : 집단의 협력에 의한 기억 회상이 동일한 수의 개인에 의한 기억 회상에 비해 성능이 저하되는 양상을 보이는 효과이다.
웰던과 벨린저(Weldon & Belinge)는 다른 구성원의 생각을 듣고 당연한 주 제에 대해 토론하는 것이 각 개인의 생각 조직을 방해하고 기억을 손상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① 책임감 분산(Ditlusion of Responsiblity) : 링겔만 효과(Ringemann Efect) 라고도 불리며, 집단과업에 참여하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1인당 기여도가 감소하는 효과이다.
② 청크효과(Chunk Efiect) : 정보를 보다 큰 유의미한 단위로 묶음으로써 기억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이다.
④ 스트룹효과(Stroop Efect) : 단어의 의미와 색상이 일치하는 자극을 보고 그 색상을 명명할 때와 단어의 의미와 색상 이 일치하지 않는 자극을 보고 그 색상을 명명할 때 반응시간에 차이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 반응시간이 증가하는 효과 이다. -
100 중 문제 4
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독립변수는 원인이 되는 변수이고, 종속변수는 결과로 나타나는 변수이다.
기온에 따른 학습능률의 변화를 알이보는 연구에서 독립변수는 ‘기온’이며, 종속변수는 ‘학습능률’이다. -
100 중 문제 5
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성 도식이론(Gender schema Theory)
• 사회학습이론과 인지발달이론의 요소들을 결합한 것으로, 성역할 개념의 습득 과정을 설명하는 일종의 정보처리이론이다.
• 성 유형화는 아동의 인지발달 수준이나 사회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지만 동시에 성 도식화(Gender Schematization)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 성 도식화는 성에 따라 조직되는 행동양식으로서, 사람들이 남성적 특성과 여성적 특성을 구분하도록 한다.
• 아동은 어떤 행동이나 역할이 남성에게 적합한 것인지 혹은 여성에게 적합한 것인지를 분류해 주는 ‘내집단/외집단’의 단순한 도식을 습득하며,
자신의 성에 적합한 역할에 대해 좀 더 많은 정보를 추구하여 자신의 성 도식(Own-Sex Schema)을 구성하게 된다.
• 일단 성 도식이 발달하면 아동은 자신의 성 도식에 맞지 않는 새로운 정보를 왜곡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세상을 보도록 가르치는 문화의 역할이 중요하다. -
100 중 문제 6
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실험법(Experimental Methods)
• 연구방법 중 가장 과학적인 방법이자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는 방법이다.
• 실험법은 인위적으로 통제된 조건하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변인을 체계적으로 변화시킬 때 그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인과관계의 추론이 가능하다.
•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정 변인은 독립변인, 독립변인의 처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변인은 종속변인이라고 한다.
• 실험법은 독립변인의 조작, 가변인의 통제, 실험대상의 무작위화를 조건으로 한다.
종속변인의 변화가 독립변인의 처치효과에 의해서만 나타난 결과임을 증명하기 위해 다른 변인, 즉 가변인(외생변인)은 일정하게 통제되어야 한다. -
100 중 문제 7
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① 주제통각검사(TAT) : 30장의 흑백그림카드와 1장의 백지카드 등 총 31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카드 뒷면에는 공용 도판, 남성공용도판(BM), 여성공용도판(GF), 성인공용도판(MF), 미성인공용도판(BG), 성인남성전용도판(M), 성인여성 전용도판(12F), 소년전용도판(B), 소녀전용도판(G)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한 사람의 수검자에게 20장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③ 로샤검사(Rorschach Test) : 1921년 스위스의 정신과의사인 로샤(Rorschach)가 만든 것으로 이 검사의 재료는 데칼코마니 양식에 의한 대칭형의 잉크 얼룩으로 이루어진 무채색 카드 5장, 부분 유채색 카드 2장, 전체 유채색 카드 3장 으로 이루어진 총 10장의 카드로 구성된다.
④ 문장완성검사 : 미완성 문장을 통해 수검자의 투사를 유도하여 욕구, 감정, 태도를 파악하는 심리검사 방법으로 자유연 상을 토대로 하므로 수검자의 내적 갈등이나 욕구, 환상, 주관적 감정 등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100 중 문제 8
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내적일치도 또는 문항내적합치도(item Internal Consistency)
• 단일의 신뢰도 계수를 계산할 수 없는 반분법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모든 반분신뢰도를 구한 다음 그 평균값을 신뢰도로 추정하는 방법이다.
•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는 항목인 경우에는 그 측정 결과에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논리에 따라 일관성이 없는 항목, 즉 신뢰성을 저해하는 항목을 찾아서 배제시킨다.
• 쿠더와 리처드슨(Kuder & Richardson)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이후 크론바흐(Cronbach)가 이에 대한 수학적 설명을 시도하였다. -
100 중 문제 9
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성격(Personality)
• 한 개인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독특하고 일관성이 있으며, 인지적이고 정동적인 안정된 행동양식이다.
• 성격은 그 개인에게 특징적이고 독특함을 가지고 있으며, 일관되게 나타난다.
• 성격특징들의 단순한 조합이 아니라, 개인이 그 특징들을 조작하여 총제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말한다. -
100 중 문제 10
1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 해설 –
현상학적 이론에서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잠재된 능력과 가능성을 존중하고 믿어주며, 개인이 자신과 주변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에 따라 행동이 달라진다고 본다.현상학적 이론
• 정신분석이론과 행동주의이론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다.
• 로저스(Rogers)는 이 세상에 개인적 현실, 즉 ‘현상학적 장(Phenomenal Field)’만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즉, 현상학적 이론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이나 감정, 외부환경에 대한 개인의 감정과 견해를 중요시한다.
•’자기(Self)’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간에 대한 전체론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 자기 자신에 대한 개념과 현실에서의 경험이 일치하지 않을 때 불안을 경험하고 이에 방어적 반응을 보인다고 보는 이론이다.
• 현상학적 이론의 궁극적인 목표는 내담자가 제시한 문제보다 내담자 자체, 즉 내담자를 도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 와 미래의 문제를 잘 다룰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
100 중 문제 11
1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 해설 –
강화물의 유형
② 돈이나 칭찬은 일차적 강화물과의 연합을 통해 가치를 지니는 강화물로, 이차적 강화물에 해당한다.일차적 강화물 (Primary Reinforcer)
• 다른 강화물과 연합하지 않은 보상 그 자체로서의 강화물
• 무조건강화자극에 해당하는 것으로, 학습에 의하지 않고도 강화의 효과를 가지는 자극이차적 강화물 (Secondary Reinforcer)
• 일차적 강화물과의 연합을 통해 가치를 지니는 강화물로, 조건강화물이라고도 함
• 조건강화자극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래 중성자극이었던 것이 강화능력을 가진 다른 자 극과 연결됨으로써 강화의 속성을 가지게 된 자극 -
100 중 문제 12
1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 해설 –
① 연쇄 혹은 행동 연쇄화(Chaining)는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법에 해당한다. 이는 동물에게 훈련시키려고 하는 특정 행동 이 여러 반응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것일 때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②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중립자극은 무조건자극에 선행되어야 한다. 중립자극이 무조건자극과 반복적으로 짝지어짐으로 써 반응을 이끌어내는 능력을 가질 때, 중립자극을 조건자극이라 한다.
③ 조작적 조건형성에 대한 내용이다. -
100 중 문제 13
1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 해설 –
효과적인 설득을 위한 고려사항
• 설득자가 설득행위가 일어나는 상황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설득자는 피설득자들의 특질과 상태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 설득자가 피설득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 대해 충분히 고려한다.
• 메시지 강도가 중요하다. -
100 중 문제 14
1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 해설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실험집단에서의 피험자는 처치, 즉 가설의 원인을 제공받고, 통제집단에서의 피험자는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는다.
이때 각 집단에 대한 제반조건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두 집단 간 종속변인 측정치 의 차이가 오로지 처치 때문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
100 중 문제 15
1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기본적 귀인오류 또는 근본 귀인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어떤 행위가 발생하였을 때, 외부귀인보다 행위자의 기질이나 성향 등 내부적인 요인에 귀인하는 경향을 의미한다. -
100 중 문제 16
1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피아제(Piaget)는 인지구조가 생득적으로 갖춰진 것이 아니라 유기체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구성해 나간다고 주장 함으로써 구성주의의 토대를 이루었다.
즉, 지능이나 지식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부단히 쇄신되고 재구성된 다는 것이다. 유아는 태어날 때부터 인지구조를 구성해 나갈 잠재력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주위 환경을 끊임없이 탐색하고 조절하며 이해하려는 노력을 통해 환경을 적절히 다룰 수 있는 보다 정교한 인지구조들을 능동적으로 구성해 나간다. -
100 중 문제 17
1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집중경향값(Central Tendency)
• 하나의 점수분포에서 중심적 경향을 나타내는 값
• 최빈치(Mode), 중앙치(Median), 평균치(Mean)가 집중경향치로 사용
• 정규분포 : 평균치 = 중앙치 = 최빈치
• 정적 편포 : 평균치 > 중앙치 > 최빈치
• 부적 편포 : 최빈치 > 중앙치 > 평균치 -
100 중 문제 18
1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피험자의 반응성, 즉 조사반응성(반응효과)은 외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에 해당한다.
연구자가 관찰하는 동안 조사 대상자가 연구자의 바람에 따라 반응하거나 스스로 조사대상임을 의식하여 평소와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경우 일반화의 정도는 낮아지며, 그로 인해 외적 타당도가 저해된다.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 성숙요인(시간의 경과)
• 역사요인(우연한 사건)
• 선별요인(선택요인)
• 상실요인(실험대상의 탈락)
• 통계적 회귀요인 (①)
• 검사요인(테스트효과) (④)
• 도구요인 (②)
• 모방(개입의 확산)
• 인과적 시간-순서(인과관계방향의 모호성) -
100 중 문제 19
1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연합학습 이론
유기체가 환경 속에서 자극과 자극 또는 자극과 그에 대한 반응이 반복적으로 발생함을 경험할 때 자극과 자극, 특정 자극 과 그에 대한 반응이 결함됨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합학습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으로 나타난다.고전적 조건형성
• 인간이 환경 자극에 수동적으로 반응하여 형성되는 행동인 반응적 행동을 설명한다.
• 고전적 조건형성으로 획득된 반응은 유기체의 행동목록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 반사적 행동이나 단순 한 행동이 새로운 자극과 연합된 것으로. 그와 같은 연합의 과정에서 학습자인 인간은 수동적인 역할 밖에 하지 않는다.조작적 조건형성
• 인간이 환경 자극에 능동적으로 반응하여 나타내는 조작적 행동을 설명한다.
• 조작적 조건형성의 핵심은 개체의 반응이 그 반응의 결과에 따라 앞으로도 계속 그와 같은 반응이 일어날지, 더 이상 그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될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
100 중 문제 20
2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② 자발적 회복(Sponianeous Recovery) : 한 번 습득된 행동에 대해 보상이 주어지지 않더라도 동일한 상황에 직면하는 경우 소거된 반응이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즉, 일단 습득된 행동은 만족스러운 결과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하여 즉시 소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① 변별(Discrimination) : 보다 정교하게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유사한 자극에서 나타나는 조그만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③ 자극 일반화(Simulus Generalization) : 특정 조건 자극에 대해 조건 반응이 성립되었을 때 그와 유사한 조건 자극에 대해서도 똑같은 조건 반응을 보이는 학습 현상을 말한다.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는 속담을 예로 들 수 있다.
④ 조형(Snaping) : 실험자 또는 치료자가 원하는 방향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반응들만을 강화하고, 원하지 않는 방향의 행동에 대해 강화받지 못하도록 하여 결국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100 중 문제 21
2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병적 도벽 또는 도벽증(Kleptomania)
• 남의 물건을 훔치고 싶은 충동을 참지 못해 반복적으로 도둑질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 물건을 살만한 경제적 능력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쓸모가 없거나 금전적으로 가치 없는 물건을 훔치려 하는 충동을 억 누르지 못하고 물건을 훔치는 행위를 반복한다.
• 물건을 훔치기 전에 긴장 고조, 훔치고 나면 만족감을 느낀다. -
100 중 문제 22
2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조현병의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양성증상 (Positive Symptom)
• 정상적, 적응적 기능의 과잉 또는 왜곡을 나타냄
•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됨
•스트레스 사건에 의해 급격히 발생함
• 약물치료에 의해 호전되며, 인지적 손상이 적음 예 망상 또는 피해망상, 환각, 환청, 와해된 언어나 행동 등음성증상 (Negative Symptom)
• 정상적, 적응적 기능의 결여를 나타냄
• 유전적 소인이나 뇌세포 상실에 의한 것으로 추정됨
• 스트레스 사건과의 특별한 연관성 없이 서서히 진행됨
• 약물치료로도 쉽게 호전되지 않으며, 인지적 손상이 큼 예 정서적 둔마, 무논리증 또는 무언어증, 무욕증 등 -
100 중 문제 23
2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지속성우울장애(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 우울증상이 2년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장애이다.
• 지속성우울장애는 DSM-IV의 만성 주요우울장애(Chronic Maior Depressive Disorder)와 기분부전장애(Dysthymic Disorder)를 합친 것이다.
• 주요우울장애가 2년 이상 지속되면 지속성우울장애로 진단명이 바뀌게 된다.
• 우울장애를 구분할 때, 증상의 심각성보다는 증상의 지속기간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DSM-5에 서는 우울증상의 심각도보다 지속기간을 중시하여 만성우울장애를 지속적 우울장애로 통합하였다.
• 지속성우울장애의 핵심증상은 만성적인 우울감이다. 이에 더해 자신에 대한 부적절감,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사회적 위 축, 낮은 자존감, 죄책감, 과거에 대한 반추, 낮은 에너지 수준, 생산적 활동의 감소 등을 나타낸다. -
100 중 문제 24
2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기준• 다양한 맥락에 걸쳐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며, 이는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_ 사회적-감정적 상호작용 시 결함을 나타낸다.
_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해 사용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행동 시 결함을 나타낸다.
_ 대인관계의 발전, 유지, 이해 시 결함을 나타낸다.• 행동, 흥미 또는 활동 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보이며, 이는 현재 또는 과거에 다음 중 최소 2가지 이상으로 나타난다.
– 운동동작, 물체사용 또는 언어사용 시 정형화된 또는 반복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의 완고한 집착 또는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행동의 의식화된 패턴을 나타낸다.
– 매우 제한적이고 고정된 흥미를 보이는데, 그 강도나 초점이 비정상적이다.
– 감각적 자극에 대해 과도한 또는 과소한 반응을 나타내 보이거나, 주변환경의 감각적 측면에 대해 비정상적인 흥미를 보인다.• 이러한 증상들은 초기 발달기에 나타나며, 사회적 • 직업적 기능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손상을 초래한다.
• 이러한 장해들은 지적 장애(지적 발달장애)나 전반적 발달지연에 의해 잘 설명되지 않는다.
-
100 중 문제 25
2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반사회성 성격장애
아동기의 품행장애나 ADHD는 성인기 반사회성 성격장애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도시빈민층에게서의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미루어볼 때 역기능적 양육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로토닌 전달 기능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100 중 문제 26
2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사회불안장애(Social Anxiety Disorder)는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사회적 상황을 두려워하여 회피하는 장애로, 사회 공포증(Social Phobia)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
100 중 문제 27
2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 흥분제 : 카페인, 코카인, 암페타민(필로폰), 니코틴
• 진정제 : 알코올, 아편, 모르핀, 헤로인
• 환각제 : 펜시클리딘, LSD, 메스칼린, 살로사이, 암페타민류, 항콜린성 물질 -
100 중 문제 28
2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①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는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의 하위유형에 해당한다.DSM-5에 의한 신경발달장애의 주요 하위유형
• 지적 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
•의사소통장애(Communication Disorders)
• 자폐스펙트럼(Autism Spectrum Disorder)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l/Hyperactivity Disorder)
• 특정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
• 운동장애(Motor Disorders)- 틱장애(Tic Disorders) 등 -
100 중 문제 29
2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④ 앉아 있도록 요구되는 상황에서 자리를 떠나는 것은 과잉행동 증상에 해당된다.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장애(ADHD ;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 ADHD의 주된 특징은 부주의(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이다.
• 뇌 손상 및 기능결함, 유전, 심리적 요인 등에 의해 발병할 수 있다.
• ADHD 아동은 지능수준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저조하고 또래관계에서 거부당하거나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부모나 교사 에게도 꾸중과 처벌을 받기 쉬워서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며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ADHD를 지닌 아동의 40~50%가 나중에 품행장애의 진단을 받는다는 보고가 있다.
• 청소년기에 호전되는 경향이 있으나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과잉행동은 개선되지만 부주의와 충동 성은 오래 지속되는 경우가 흔하다.
• ADHD가 청소년기까지 지속되는 경우에는 품행장애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품행장애를 나타내는 청소년의 약 50% 는 성인이 되어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 일반적으로 남자아동이 여자아동에 비하여 높은 발병빈도를 보인다.
• 주변 신호자극을 각성하는 데 문제가 생겨 발생할 수도 있다. -
100 중 문제 30
3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소인-스트레스이론(Diathesis-stress Theory)
• 소인-스트레스이론은 질병소인이 있는 사람이 특정한 질병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받으면 질병에 쉽게 걸린다고 가정하는 이론이다.
• 특정한 질병에 걸리기 쉬운 선천적 경향(질병소인)이 강한 사람은 특정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선천적 경향이 약한 사람보다 스트레스에 병적으로 반응하며, 경미한 환경적 스트레스에도 질병이 보다 쉽게 유발될 수 있다.
• 소인-스트레스이론은 소인이 스트레스상황에서 발현된다고 본다. 이는 질병이 개인의 생리와 스트레스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고 보는 입장으로, 질병을 예측하기 위해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개인의 취약성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성을제기한다. -
100 중 문제 31
3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② 대인관계치료(Interpersonal Psychotherapy) : 개인의 사회적, 대인관계적 기능에 초점을 둔 구조화된 심리치료법이다.
3 인지행동치료(Cognitive Behavioral Therapy) : 부정적인 사고 개선에 역점을 두는 치료법으로, 내담자의 사고 편견 이나 인지 왜곡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법이다.
④ 단기정신역동치료(Brief Psychodynamic Therapy) : 정신분석이론에 기초를 두고 환자의 문제유발적 정신역동 패턴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는 치료법이다. -
100 중 문제 32
3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③ 주요증상 중 3가지 이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 분리불안장애로 진단하며 일반적으로 아동이나 청소년의 경우 4주 이상, 성인의 경우 6개월 이상 나타낼 때를 진단 기준으로 한다.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의 주요증상
• 주요애착대상이나 집을 떠나야 할 때마다 심한 불안과 고통을 느낀다.
• 주요애착대상을 잃거나 그들에게 질병, 부상, 재난 혹은 사망과 같은 해로운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한다.
• 애착대상과 분리될 수 있는 사건들(예 길을 잃음, 납치당함, 사고를 당함, 죽음)에 대해 지속적이고 과도하게 걱정한다.
• 분리에 대한 불안 때문에 밖에 나가거나, 집을 떠나거나, 학교나 직장 등에 가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한다.
• 혼자 있게 되거나 주요애착대상 없이 집이나 다른 장소에 있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과도한 공포를 느끼거나 꺼린다.
• 집을 떠나 잠을 자거나 주요애착대상이 근처에 없이 잠을 자는 것을 지속적으로 꺼리거나 거부한다.
• 분리의 주제를 포함하는 반복적인 악몽을 꾼다.
• 주요애착대상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가 예상될 때 이상 신체증상(에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호소한다. -
100 중 문제 33
3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범불안장애(Generalized Anxiety Disorder) 진단 기준
• 여러 사건이나 활동에 대해 과도한 불안과 걱정을 하며, 그 기간이 6개월 이상 이어진다.
• 자기 스스로 걱정을 통제하는 것이 어렵다고 느낀다.
• 불안과 걱정은 다음 6가지 증상 중 3가지 이상과 연관된다(아동의 경우 1가지 이상).
– 안절부절못함 또는 긴장이 고조되거나 가장자리에 선 듯한 느낌
– 쉽게 피로해짐
– 주의집중이 어렵거나 정신이 멍한 듯한 느낌
– 과민한 기분상태
– 근육 긴장
– 수면장애
• 불안이나 걱정 또는 신체 증상이 사회적 • 직업적 기능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한다. -
100 중 문제 34
3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조증삽화의 주요증상
• 자기존중감의 팽창 또는 과장된 자신감
• 수면에 대한 욕구 감소
• 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말을 끊임없이 계속함
• 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연이어 나타나는 주관적인 경험
• 보고되거나 관찰된 주의산만(즉, 중요하지 않거나 관련 없는 외부자극에 너무 쉽게 주의를 빼앗김)
• 목표지향적 활동의 증가 또는 정신운동성의 초조
•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활동에의 과도한 몰두(무분별한 과소비, 무분별한 성적행동 혹은 어리석은 사업투자에의 이끌림) -
100 중 문제 35
3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섬망(Delirium)
• DSM-5에서는 신경인지장애(Neurocognitive Disorders)의 하위유형으로 분류한다.
• DSM-5에 따른 섬망은 주의장애를 핵심증상으로 한다.
• 기억, 언어, 현실판단 등 인지기능에서의 일시적인 장애를 나타내는 경우로서, 그 증상은 단기간(보통 몇 시간 혹은 며칠)에 걸쳐 나타나며, 하루 중 그 심각도가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 보통 노년기에 흔히 나타나는 장애로, 의식이 혼미해지고 현실감각에 혼란을 보이며. 시간 및 장소에 대한 인식의 장해가 나타난다. -
100 중 문제 36
3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지적 장애 개인의 지능지수는 오차 범위를 포함해서 대략 평균에서 2표준편차 이하로 평가한다. -
100 중 문제 37
3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치매의 일반적인 증상
• 치매의 주요증상은 기억력의 장애이다.
• 언어기능의 장애가 나타나 초기에는 적절한 단어를 못찾다가 점차적으로 상대방의 질문에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주제와 연관되지 않은 말을 반복한다.
• 인지기능의 장애가 나타나 공간지각에 대한 심각한 저하로 왼쪽과 오른쪽을 구별하지 못하거나 자주 다니는 길 또는 집을 찾지 못한다.
• 성격 및 정서의 변화가 나타나 가족을 의심하거나 항상 불안하고 우울증과 조증의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
100 중 문제 38
3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③ B군 성격장애에 해당하는 경계성(경계선)성격장애에 대한 설명이다.
B군 성격장애
• 반사회성성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 연극성(히스테리성)성격장애(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 경계성(경계선)성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자기애성성격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100 중 문제 39
3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④ 외상후스트레스장애 : 강간, 폭행, 교통사고, 자연재해, 가족이나 친구의 죽음 등의 충격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 불안상태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장애이다
① 범불안장애 : ‘일반화된 불안장애’라고도 하며, 과도한 불안과 긴장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는 상태를 말한다.
② 적응장애 : 주요한 생활사건에 대한 적응실패로 나타나는 정서적 또는 행동적 부적응 증상을 말한다.
③ 조현병 : 뇌의 특별한 기질적 이상 없이 사고나 감정, 언어, 지각, 행동 등에서 부적응적인 장애를 나타내는 정신장애이다. -
100 중 문제 40
4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주요우울장애 핵심증상
• 하루 대부분, 거의 매일 지속되는 우울한 기분이 주관적 보고나 객관적 관찰을 통해 나타남
• 거의 모든 일상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이 하루의 대부분 또는 거의 매일같이 뚜렷하게 저하됨
• 체중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현저한 체중감소나 체중증가가 나타남
• 거의 매일 불면이나 과다수면이 나타남
• 거의 매일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를 나타냄
• 거의 매일 피로감이나 활력상실을 나타냄
• 거의 매일 무가치감이나 과도하고 부적절한 죄책감을 느낌
• 거의 매일 사고력이나 집중력의 감소 또는 우유부단함이 주관적 호소나 관찰에서 나타남
• 죽음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이나 특정한 계획 없이 반복적으로 자살에 대한 생각이나 자살기도를 하거나 자살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움 -
100 중 문제 41
4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심리검사의 윤리적 고려사항
• 전문적 측면(전문가로서의 자질) : 검사자는 고도의 책임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야 하며,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고 심리학적 평가기법을 다룰 수 있어야 한다.
• 도덕적 측면(수검자에 대한 의무와 권리) : 검사자는 인간의 권리를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다. 심리검사와 관련된 수검자의 권리 중에는 검사를 받지 않을 권리, 검사점수 및 해석을 알 권리, 검사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권리, 검사결과의 비밀을 보장받을 권리 등이 있다.
• 윤리적 측면(검사자의 책임) : 검사자는 수검자에게 검사가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명확히 밝히고 비밀보장의 한계를 설명해 주어야 하며, 자신을 고용한 기관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최소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사회적 측면 : 검사자는 심리검사가 주는 이익과 개인의 권리 및 자유를 위협하는 위험을 알고 있어야 하며, 이익이 위험을 훨씬 능가하고 위험이 최소화된 경우에만 검사사용이 사회적으로 용인되어야 한다. -
100 중 문제 42
4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③ 신경심리검사는 1차적 진단도구로 사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만, 환자의 상태를 예측하고 진단하는 데 도움을 주며 널 리 활용될 수 있다.① 브로카와 베르니케(Broca & Wernicke)는 실어증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또한 임상신경심리학은 1936년 라슐리(Lashley)가 심리학에 도입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이후 미국의 할스테드와 라이탄(Halstead & Rean), 구소련 의 루리아(Luria) 등이 발전시켰다.
② 신경심리검사는 신경영기법의 첨단장비로 탐지해 낼 수 없는 미세한 초기의 장애를 탐지해 낼 수 있고, 뇌 행동관계 의 기능적 측면에 대한 세부적 정보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므로 의료적 검사와 함께 유효하게 사용된다.
④ 융통식(Flexible) 배터리 접근은 검사 조건에 따라 총집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각 검사를 독립적인 개별 검사로도 사용할 수 있다. -
100 중 문제 43
4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구성장애 또는 구성실행증(Constructional Apraxia)
• 두정엽 또는 마루엽(Parietal Lobe)은 대뇌피질의 윗부분 중앙에 위치하며, 이해의 영역으로서 공간지각, 운동지각, 신체의 위치판단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체 각 부위의 개별적인 신체표상을 비롯하여 입체적 • 공간적 사고, 수학적 계산 및 연상기능 등을 수행한다.
•’구성장애 또는 구성실행증’은 1차원 및 2차원의 자극을 토대로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된 대상이나 형태를 구성하는 능력에서 결함을 나타내는 장애이다.
• 지각적 결함과도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우측 두정엽에 병변이 있는 환자의 경우 지형학적 사고와 기억손상 등의 시공간적 장애를 보이기도 하며, 개별적 특징들을 전체로 통합하여 재인하지 못하는 지각적 단편화와 함께 특이한 각도로 제시되는 대상을 재인하지 못하는 지각적 분류장해를 보이기도 한다.
• 수학적 개념과 문제풀이 능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적 관계에 따라 수를 조작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는 계산부전증 또는 난산증(Dyscalculla)’을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장해 및 증상들은 구성적 결함 또는 구성능력의 손상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100 중 문제 44
4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④ 2-3/3-2 코드일 경우, 우울이나 긴장과 함께 만성적 피로감, 위장장애와 같은 신체적 증상이나 무력감 등을 느낀다.
일상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흥미를 보이는 일이 거의 없고, 사회적 교류를 회피하는 등의 미성숙하거나 의존적인 태도를 취한다.①1-8/8-1 코드일 경우, 기괴한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경향이 많고 신체적 망상을 보이기도 하며, 소외감을 느낀다.
② 3-4/4-3 코드일 경우, 공격성과 적개심을 통제할 수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의 지표로 만성적이고 강한 적개심이 있으며 자기중심적이다.
③2-77-2 코드일 경우, 불안하고 우울하며, 긴장하고 예민한 모습을 보인다. 완벽주의 성향이 강해서 자신의 결함에 대해 열등감과 죄책감을 느낀다. -
100 중 문제 45
4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① 2번 척도는 신경증적 혹은 내인성 우울증이라기보다는 반응성 혹은 외인성 우울증을 측정, 이에 2번 척도의 점수는 피검자의 기분이 변함에 따라 하루하루 변할 수 있다.
② 4번 척도가 높은 경우 유연한 사회적 기술로 심리치료나 상담에 좋은 반응을 보일 것 같이 보이지만, 이러한 능력은 주로 사람을 착취하는 데 이용된다. 더 괴로운 결과(예 처벌이나 이혼 등)를 면하기 위해 치료에 동의하기는 하나, 자신의 문제에 대한 책임을 수용할 수 없어 되도록 빨리 치료를 종결하려 한다.
④ 척도 7번은 강박적인 성향과 특성불안이라고 할 수 있는 만성적인 불안, 삶에 대한 전반적인 불만족, 우유부단함, 주의집중 곤란, 자기의심, 자신에 대한 반추와 초조, 걱정 등을 측정(상태불안은 일시적인 불안, 즉 불안한 상태를 가리키는 반면에 특성불안은 그 사람의 성격처럼 언제나 내면에 존재하고 있는 불안을 의미)한다. -
100 중 문제 46
4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웩슬러지능검사는 정신연령과 생활연령을 비교한 스탠포드-비네검사의 비율지능지수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의 지능을 동일 연령대 집단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로 규정한 편차지능지수를 사용한다. -
100 중 문제 47
4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BGT (Bender Gestalt Test) 특징
• BGT는 형태심리학과 정신역동이론을 기초로 한다.
• 기질적 장애를 판별하려는 목적에서 만들어졌다.
• 검사자는 수검자가 해당 도형들을 어떻게 지각하여 재생하는지 관찰함으로써 성격을 추론할 수 있으며, 수검자에 대한 정신병리적 진단 및 뇌 손상 여부도 탐지할 수 있다.
• 단순한 도형그림 작성방식이므로, 언어능력이나 언어표현이 제한적인 사람, 언어적인 방어가 심한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정신지체나 뇌 기능장애는 물론 성격적 문제를 진단하는 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 통일된 채점체계가 없으며 전문가 간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
100 중 문제 48
4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전체척도 IQ(FSIQ)와 일반능력지수(GA)의 해석
• 전체척도 IQ(Full Scale IQ)는 개인의 전반적인 정신능력의 추정치로 연령규준과 비교하여 IQ 점수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며, 일반능력지수(General Ability Index)는 전반적인 지능 측정치의 대안으로 활용된다.
• 리히텐베르거와 카우프만(Lichtenberger & Kaufman)은 전체도 IQ(FSIQ)를 일반지능의 추정치로 해석할 것인지, 아니면 일반능력지수(GA)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때 4개의 지수 중 가장 점수가 높은 지수와 가장 점수가 낮은 지수 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지수 점수의 최고치와 최저치 간 차이가 1.5표준편차 이상(23점 이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이들 간 분산이 너무 크기 때문에 전체도 IO(FSIC)의 안정성은 낮아진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일반능력지수(GA)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다. -
100 중 문제 49
4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표집방법
• 확률표집
– 단순무선(무작위)표집(Simple Random Sampling)
– 체계적 표집법(Systematic Sampling)
– 유층(층화)표집법(Stratified Sampling)
– 다단계군집표집법(Multistage Clustering Sampling)• 비확률표집
– 임의표집(Accidental or Convenience Sampling)
– 목적표집(Purposive or Judgmental Sampling)
– 할당표집(Quota Sampling) -
100 중 문제 50
5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MMPI의 타당도척도
원판 MMPI의 4가지 타당도척도는 ?척도(무응답 척도), L척도(부인척도), F척도(비전형도), K척도(교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MMPI-2에서는 원판 MMPI의 타당성척도 외에 VRIN, TRIN, F(B)와 F(P), FBS, S척도가 추가되었다. -
100 중 문제 51
5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자기보고형 검사(객관적 검사)의 단점
• 사회적 바람직성 : 문항의 내용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내용인가가 문항에 대한 응답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 반응 경향성 : 개인의 응답 방식에서 나타나는 일정한 흐름이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 묵종 경향성 : 자기 이해와 관계없이 협조적인 대답으로 일관함으로써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 문항 제한성 : 검사 문항이 개인의 주요 특성을 중심으로 전개됨으로써 특정 상황에서의 특성과 상황 간의 상호작용 내용을 밝히기 어렵다.
• 응답 제한성 : 응답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개인의 독특한 문제에 대한 진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수집된 자료에 개인의 문제가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
100 중 문제 52
5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2-7 상승적도 피검자의 특성
• 불안해하거나 초조해하고, 긴장, 걱정이 많다.
• 사소한 스트레스에도 과도하게 반응한다
• 강박사고와 강박행동을 보인다.
• 피로감, 피곤함, 소진감을 느낀다.
• 비관적이고 희망이 없다고 느끼며, 미성숙하다.
• 성취하고 싶은 욕구 및 그런 성취를 통해 인정받고 싶은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 자신에게 상당히 많은 것을 기대하며 목표 달성에 실패하면 죄책감을 느낀다.
• 수동-의존적이며 자기주장을 내세우는 것도 힘들어한다.
• 불안장애, 우울증, 강박장애 등이 함께 진단된다. -
100 중 문제 53
5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선로잇기검사(Trail Making Test)
• 숫자와 문자의 상징적인 의미를 이해하고, 전체 화면을 주시하면서 숫자와 문자를 순서대로 연결하는 능력을 검사하는 것
• A형은 숫자 잇기, B형은 숫자와 글자를 교대로 잇기
• 집중력 및 정신적 추적능력을 측정 -
100 중 문제 54
5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F척도(nirequency, 비전형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수검자는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람들이 하는 것처럼 반응하지 않으며, 그가 가지고 있는 문제영역이 많고 문제의 정도가 심각한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Es척도(Ego Strength Scale, 자아강도 척도) 점수가 높을수록 수검자는 심리적 문제영역이 상대적으로 적으며, 정서적으로 균형 잡혀 있는 것을 나타낸다. -
100 중 문제 55
5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검사구성방법(척도구성방법)
– 연역적 방법
• 논리적-내용적 방법
– 안면타당도에 근거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문항을 논리적으로 추론하여 기술하는 방법이다.
예) 우드워스(Woodworth)의 개인자료기록지(Personal Data Sheet) 등• 이론적 방법
– 특정의 심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여 문항을 선정하는 방법이다.
예) 마이어스-브릭스 성격유형검사(MBT), 에드워즈(Edwards)의 욕구진단검사(EPPS) 등-경험적 방법
• 준거집단 방법 (경험적 준거 방법)
– 어떤 심리 특성을 가진 준거집단과 정상적인 통제집단을 구별해 주는 문항을 선정하는 방법이다.
예)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MMP),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 등• 요인분석 방법
–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문항의 의미를 결정하고 이를 보다 단순한 차원으로 축소하는 방법이다.
예) 16성격 요인검사(16PF) 등 -
100 중 문제 56
5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검사-재검사 신뢰도
• 하나의 평가도구 혹은 검사를 같은 집단에 두 번 실시해서 그 전후의 결과에서 얻은 점수를 기초로 해서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 검사와 재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길어질수록 신뢰도 계수는 작아진다.
• 연습효과 기억효과로 인해 후의 시험결과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길면 측정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이 변할 가능성이 있다.
• 감각식별검사나 운동검사에 권장되는 방법이다.
• 반응민감성에 의해 검사를 치르는 경험이 개인의 진점수를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너무 짧으면 첫 번째 검사 때 응답하였던 것을 기억해서 그대로 쓰는 이월효과가 있다. -
100 중 문제 57
5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내용타당도는 측정될 구성개념에 대한 평가도구의 대표성과 적합성을 말한다.
즉, 내용타당도는 검사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영역을 얼마나 잘 대표하는지, 검사 문항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의 내용에 관한 적절한 표본인지를 알려 준다.
반면에 구성타당도는 측정하려고 하는 구성개념이 측정도구에 의해 제대로 측정되었는지를 의미한다. -
100 중 문제 58
5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발달검사를 통한 이동평가
• 아동은 특별한 집단이므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인 평가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규준에 의한 발달적 비교가 가능해야 한다.
• 아동평가를 통해 인지, 행동, 정서 상태 등 여러 측면에서의 변화 목표를 가질 수 있다.
• 변화를 필요로 하는 목표행동의 범위가 넓은 경우 다중적인 평가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측정도구들은 경험적으로 타당성을 검증받은 것이어야 하며, 아동의 발달적 변화에 대해서도 민감한 것이어야 한다. -
100 중 문제 59
5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임상심리사가 검사 점수를 해석할 때는 수검자의 다양한 배경이나 수행 동기 등을 반영해야 한다. -
100 중 문제 60
6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베일리 유아발달척도(BSID ;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의 척도 구성
– BSID-I (1969)
• 정신척도(Mental Scale)
• 운동척도(Motor Scale)– BSID- II (1993)
• 정신적도(Mental Scale)
• 운동척도(Motor Scale)
• 행동평정척도(Behavior Rating Scale)– BSID-III (2006)
• 인지척도(Cognitive Scale)
• 언어척도(Language Scale)
• 운동척도(Motor Scale)
• 사회-정서척도(Social-Emotional Scale)
• 적응행동척도(Adaptive Behavior Scale) -
100 중 문제 61
6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대상관계이론
• 대상관계의 개념은 프로이트 사후의 정신분석학자들에 의해 발전하였으며, 이들은 인간이 삶을 통해 맺는 다양한 관계가 곧 대상관계의 발현이라고 주장하였다.
• 인간의 생애 초기에 자기 자신과 타인 또는 대상에 대한 내적인 이미지들로 구성된 심리구조의 형성 및 분화과정을 탐구하여, 그것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대상관계적 상황으로 발현하는지 연구하였다.
• 자기표상 : 자기 자신에 대한 근본적인 이미지이다.
• 대상표상 : 타인 및 세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미지이다. -
100 중 문제 62
6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F(P)척도(inFrequency Psychopathology, 비전형-정신병리 척도)
• 규준집단과 정신과 외래환자집단에서 모두 매우 낮은 반응 빈도를 보인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VRIN척도와 TRIN척도 점수를 검토한 결과 무선반응이나 고정반응으로 인해 F척도 점수가 상승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될 경우 사용한다.
• 이 척도는 F척도의 상승이 실제 정신과적 문제 때문인지 혹은 의도적으로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이려고 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데 유효하다.
특히 F(P)도가 100T 이상일 경우 수검자의 무선반응 혹은 부정왜곡(Faking-Bad)을 짐작할 수 있으므로, 해당 프로파일은 무효로 간주할 수 있다. -
100 중 문제 63
6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1-3 혹은 3-1 코드쌍
• 심리적 문제가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되어 나타난다.
• 자신의 외현적 증상이 심리적 요인에 의한 것임을 인정하려 하지 않는다.
• 부인의 방어기제를 사용하여 자신의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잘 드러내지 않는다.
•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사지의 통증이나 두통, 흉통을 보이며, 식욕부진, 어지럼증, 불면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 자기중심적이며 의존적인 성향, 대인관계에서 피상적인 행태를 보인다.
• 전환장애의 가능성이 있다. -
100 중 문제 64
6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④ 유관성 관리 : 적응적 행동은 보상으로 촉진하고, 부적응적 행동은 강화를 주지 않음으로써 제거하는 기법이다.
① 노출치료 : 외상후스트레스 환자를 공포자극에 노출시킴으로써 환자가 회복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② 체계적 감화 : 심리적 불안과 신체적 이완은 병존할 수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상호억제의 원리를 이용하는 기법이다.
③ 혐오치료 : 고전적 조건형성 기법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 혐오 자극을 제시하여 부적응적인 행동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
100 중 문제 65
6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③ 전문가는 때로 다른 동료 전문가의 비윤리적 행위나 윤리적 위반 가능성을 인지하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선 그 당사 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윤리적 문제를 비공식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시도를 해야 한다.
그와 같은 시도로 문제가 시정 되지 않는다면, 해당 윤리위원회에 신고해야 할 의무가 있음을 당사자에게 알리고 윤리강령에 따라 행동을 취해야 한다.윤리위반의 해결(한국상담심리학회 윤리강령 4p)
• 상담심리사는 다른 상담심리사의 윤리강령 위반을 인지한 경우, 그 위반이 심각한 해를 끼치지 않는다면 우선 해당 상담심리사에게 윤리문제가 있음을 인식시킨다.
• 명백한 윤리강령의 위반으로 개인이나 조직이 실질적인 해를 입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경우, 그리고 개별적인 시도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 상담심리사는 상벌윤리위원회에 신고한다.
• 소속 기관 및 단체와 본 윤리강령 간에 갈등이 있을 경우, 상담심리사는 갈등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 소속 기관 및 단체에 윤리강령을 알려서 이를 준수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찾도록 한다. -
100 중 문제 66
6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적극적 경청 기술(Cormier & Cormier)
• 부연 : 말한 내용에 대해 알기 쉽게 다른 표현으로 말하는 것이다.
• 반영 : 개인이 자신의 느낌을 더 잘 표현하고 이해하도록 격려하기 위해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한 느낌을 이해하기 쉽게 바꾸어 말하는 것을 포함한다.
• 요약 : 부연과 반영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몇 가지 논점들을 조리 있고 간단한 메시지로 묶기 위한 시도이다.
• 명료화 : 메시지가 완전히 이해되고 있음을 확실히 하기 위해 질문하는 것이다. -
100 중 문제 67
6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④ 3차 예방은 심리장애 발생 후에 그 지속기간 및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심리장애의 악화 및 재발을 방지 하고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며,
가정과 사회로의 복귀 및 적응을 돕기 위한 지지와 교육을 제공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다.② 1차 예방은 해로운 환경이 질병을 야기하지 않도록 사전에 이를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 하고 스트레스의 근원을 제거하며,
스트레스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개인의 능력을 함양시킨다.③ 2차 예방은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확인하고 장애로 발전하기 이전 초기단계에서 문제를 치료하는 것이다.
심리장애 로 발전될 위기에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기에 치료를 제공하며, 사고나 재해의 피해자에 대해서는 위기개입을 한다. -
100 중 문제 68
6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정신역동치료에서 저항의 분석
• 저항(Resistance)은 불안을 유발하는 기억과 통찰을 무의식적으로 억압하려는 모든 노력을 말한다.• 내담자의 저항은 치료시간에 잦은 지각이나 침묵과 의사소통의 회피 등 명백한 저항으로, 혹은
치료자의 비위를 맞추되 핵심을 말하지 않기 등 미묘한 저항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저항의 분석은 우선 내담자의 저항을 거론하고, 저항의 모습을 명료화하며, 저항의 무의식적 동기와
원인을 해석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실행함으로써 훈습(Working-Through)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
100 중 문제 69
6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① 두정엽(Parietal Lobe)
• 뇌의 윗부분 중앙 위치에 있으며, 전체의 약 21% 정도를 차지한다.
• 일차체감각피질과 연합피질로 구성된다.
• 이해의 영역으로, 공간지각, 운동지각, 신체의 위치판단 등을 담당한다.
• 신체 각 부위의 개별적인 신체 표상을 비롯하여 입체적, 공간적 사고, 수학적 계산 및 연상기능 등을 수행한다.② 전두엽(Frontal Lobe)
• 대뇌피질의 앞부분에 위치하며, 전체의 약 40%를 차지한다.
• 골격근의 운동을 통제하는 일차운동피질로 구성된다.
• 창조의 영역으로, 운동기능, 자율기능, 감정조절기능, 행동계획 및 억제기능 등을 담당한다.
• CEO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지력, 판단, 지혜, 동기, 전략 세우기, 계획 등과 관련된다.
• 전두엽의 맨 앞부분에 위치한 전전두엽은 고차적인 정신활동을 담당하는 영역으로, 인지 및 사고, 판단작용과 행동계획, 창의성 등을 관장한다.③ 측두엽(Temporal Lobe)
• 대뇌피질의 측면에 위치, 전체의 약 21% 차지한다.
•청각피질과 연합피질로 구성한다.
• 판단과 기억의 영역으로, 언어, 청각, 정서적 경험 등을 담당한다.④ 후두엽(Occipital Lobe)
• 뇌의 뒷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전체의 약 17% 차지한다.
• 일차시각피질과 시각연합피질로 구성된다.
• 시각의 영역으로, 망막에서 들어오는 시각정보를 분석, 통합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100 중 문제 70
7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근거기반치료 또는 경험적으로 지지된 치료의 기준은 3단계, 즉 근거기반이 강한(Strong) 치료, 어느 정도인(Modes) 치료,
그리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Controversial) 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연구가 대기자 통제집단보다 더 우수 한 효과를 보이는 경우는 근거기반이 강한 치료로서
“잘 확립된 치료(Well-Established Treatments)’가 아닌 어느 정도 인 치료로서 “효과가 있음직한 치료(Probably Efficacious)”에 해당한다. -
100 중 문제 71
7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역전이의 활용
프로이트(Freud) 사후 역전이는 효과적인 상담을 위한 분석대상이자 기술로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역전이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무의식을 연결함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갈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이자 치료도구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최근에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현상들을 치료에 응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펼쳐지면서,
상담자를 단순히 내담자의 심리를 반영하는 거울로 간주하는 데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
100 중 문제 72
7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자연관찰법(Naturalistic Observation)
• 관찰자가 내담자의 환경(병동, 가정, 교실, 직장 등)에 들어가서 내담자의 행동을 관찰하는 방법
• 장점 : 많은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기초자료 수집에 효과적이다.
• 단점 :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면에서 비효율적이다. -
100 중 문제 73
7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모델링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보고 들은 후 따라하는 것으로 관찰학습을 의미한다.
타인의 행동에 대한 관찰 및 모방에 의한 학습을 통해 내담자로 하여금 문제행동을 수정하거나
학습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불안과 공포가 모델링에 의해 극복된다는 사례들도 보고되고 있다. -
100 중 문제 74
7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자연관찰법 또는 직접관찰법
• 관찰자가 내담자의 문제행동이나 증상을 실생활에서 직접관찰하고 평가하는 방법이다.
• 여러 상황에 걸쳐 많은 정보를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문제행동에 대한 리스트 작성 및 기초자료 수집에 효과적이다.
• 내담자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며, 비용면에서도 효율적이지 못하다. -
100 중 문제 75
7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②, ④ 1896년 위트머(Witmer)는 미국 펜실베니아(Pennsylvania) 대학에 세계 최초의 심리진료소(Psychological Clinic)를 개설하였다.
참고로 인간의 지능이 일반요인(General Factor)과 특수요인(Special Factor)으로 구분된다고 주장하 면서 9지능 개념을 제시한 학자는 스피어만(Spearman)이다.③ 1905년 비네(Binet)는 시몽(Simon)과 함께 초등학교 입학 시 정신지체아를 식별하기 위해 ‘비네-시몽 검사(Binet-Simon Test)’를 개발하였다.
참고로 ‘군대알파(Army a)’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심리학회(APA)의 심리검사위원회 를 통해 개발되었다. -
100 중 문제 76
7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① 상담자의 자기노출은 특수한 상황에서 내담자와의 공감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단, 상담자의 자기노출은 때로 위험을 수반하므로 민감하게 다루어야 한다.② 내담자가 상담과정 중 침묵하는 이유는 다양하다. 내담자가 침묵하는 이유 중 내담자가 자신을 돌아보거나 생각을 간추리는 과정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담자는 ‘조용한 관찰자’의 태도로 내담자의 침묵을 섣불리 깨려 하지 말고 기다리는 것도 좋다.③ 내담자는 언어적 의사소통은 물론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하므로, 상담자는 내담자의 눈맞춤, 얼굴 표정, 자세, 몸짓 등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내담자의 숨은 감정을 언급하고 다루어야 한다. -
100 중 문제 77
7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상담자가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태도
• 일치성과 진실성(솔직성)
• 공감적 이해
• 무조건적 존중 -
100 중 문제 78
7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환자 교육의 필요성
• 환자 교육은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지도하는 것은 물론 환자의 자존감을 키우고 회복에 대한 희망을
심어줌으로써 환자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치료 과정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약물을 복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복용하는 약물의 효과 및 부작용은 무엇인지 등을 가르치며,
증상 교육을 통해 현재와 과거의 증상을 인지하고 재발 경고징후를 파악함으로써 재발을 막는 데 초점을 둔다. -
100 중 문제 79
7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로샤검사(Rorschach Test)의 모든 반응이 왜곡된 형태(-, Minus)를 근거로 한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반점의 형태 특징이 왜곡되고 인위적이며 비현실적으로 사용된 경우로 볼 수 있다.수검자는 사실상 반점의 구조적 특징을 완전 히 혹은 거의 완전히 무시한 것인데, 특히 MMPI의 임상척도인
척도 8 Sc(Schizophrenia, 정신분열증)이 65T 정도로 상승되어 있다면 주의집중의 어려움, 정신운동의 지체현상에 따른 판단력 저하 등의 가능성이 있다. -
100 중 문제 80
8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면접자가 자신의 내면과 부합하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심상을 어느 정도 전달할 수 있는가는 ‘진실성’과 연관된다.
진실성은 ‘일치성(Congruence)’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면접자의 일치성, 혹은 면접자가 말하고 있는 것과 실제로 느끼고 있는 것 사이에 존재해야만 하는 조화를 일컫는다.해석(Interpretation)
• 내담자가 새로운 방식으로 자신의 문제를 돌아볼 수 있도록 사건들의 의미를 설정하고, 그 문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생활경험 및 행동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다.
• 외견상 분리된 내담자의 말 또는 사건들의 관계를 연결하거나 방어, 저항, 전이 등을 설명한다.
• 내담자의 사고, 행동. 감정의 패턴을 드러내거나 이를 통해 나타나는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새로운 틀을 제공한다.
• 내담자에게 자신에 대한 통찰을 촉진하고 자기통제력을 향상하도록 한다.
• 내담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파악하여 그 원인을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좀 더 자유롭게 감정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한다. -
100 중 문제 81
8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벌을 통한 행동수정 시 유의사항
• 벌을 받을 행동을 구체적으로 세분화하고 설명한다.
• 벌을 받을 상황을 가능한 한 없애도록 노력한다.
• 바람직한 상반행동을 하도록 그 조건을 극대화한다.
• 가장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벌을 선택한다.
• 반복되는 벌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없는 경우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 벌은 그 강도를 점차로 높이지 말아야 한다.
• 벌을 받을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즉각적으로 벌을 준다.
• 바람직한 행동이 무엇인지 사전에 알린다. -
100 중 문제 82
8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작업동맹(Working Alliance)
상담자와 내담자가 상호존중과 신뢰의 분위기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에 대해 합의하며,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관계를 말한다.보딘(Bordin)의 작업동맹의 3가지 측면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유대
• 작업과제에 대한 동의
• 목표에 대한 동의 -
100 중 문제 83
8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하렌(Harren)은 의사결정과정으로 인식, 계획, 확신. 이행의 네 단계를 제안하고,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자아개념과 의사결정유형을 제시하였다. -
100 중 문제 84
8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피드백(Feedback)
• 피드백 혹은 환류는 다른 집단성원의 행동, 사고, 감정에 대한 반응으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되돌려 주는 것을 말한다.
• 집단 내에서 학습을 유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솔직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은 집단성원의 행동이 다른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지, 대인관계에서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 깨닫도록 한다.
• 집단성원들은 우호적인 피드백과 비우호적인 피드백을 교환해 봄으로써 그것이 인간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경험해 볼 수 있다.
• 집단상담자는 언제 어떤 종류의 피드백을 제공할 것인가에 관한 선택이 결국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형성에 영향을 미치며, 그 변화의 책임이 바로 집단성원 자신에게 있음을 알린다.
• 집단 초기에 상담자는 시기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집단성원들이 이를 모방하여 실행해볼 수 있도록 한다.
• 자신을 비현실적으로 인식하는 집단성원의 경우 다른 구성원들의 피드백을 통해 자기 이해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자신을 다른 각도에서 조망할 수 있게 된다. -
100 중 문제 85
8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상담의 목표는 각 내담자가 요구하는 것이어야 하므로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어서는 안 된다.
-
100 중 문제 86
8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검사결과를 해석 및 제시할 때에는 병리적인 것과 함께 강점, 잠재력을 함께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00 중 문제 87
8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교류분석의 주요 4가지 분석
• 구조분석 : 내담자의 성격을 구성하는 자아상태를 분석한다.
• 교류분석 : 내담자가 대하는 사람과 하는 행동과 언어를 분석한다.
• 게임분석 : 내담자가 다른 사람과 하는 의사소통에서 수행하는 저의적 교류(표면상의 행동과는 달리 숨겨진 의도를 가지며 심리적 대가를 치르는 교류 방식)를 분석한다.
• 각본분석 : 내담자가 강박적으로 사용하는 구체적인 인생각본을 분석한다. -
100 중 문제 88
8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게슈탈트(형태주의)상담
1940년대 펄스(Pearls)에 의해 창안된 게슈탈트(형태주의)상담에서는 변화가 자각(알아차림)과 접촉을 통해서 저절로 일어난다고 본다.
이러한 시각을 전제로,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정확히 알아차리고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해소하도록 돕는 상담이다. -
100 중 문제 89
8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성폭력 피해자 심리상담 초기단계의 유의사항
• 상담자는 피해자인 내담자와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치료관계 형성에 힘써야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상담 내용의 주도권을 줌으로써 내담자에게 현재 상황에서 표현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해서만 이야기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비언어적인 표현에 주의를 기울이며, 그에 대해 적절히 반응해야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성폭력 피해로 인한 합병증 등을 파악해야 한다.
• 상담자는 내담자가 성폭력 피해의 문제가 없다고 부인하는 경우 일단 수용하며, 언제든지 상담의 기회가 있음을 알려야 한다. -
100 중 문제 90
9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내담자의 수프에 침 뱉기
• 개인주의상담 기법 중 하나로, 내담자의 자기패배적 행동의 감춰진 의도나 목적을 드러냄으로써 이전의 행동을 분리하기 위한 기법이다.
• 상담자는 내담자의 잘못된 생각이나 행동에 침을 뱉음으로써 내담자가 이후 그와 같은 생각이나 행동을 수행하려고 할때 이전과 같은 편안한 감정을 느끼지 못하도록 한다. -
100 중 문제 91
91.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도박중독의 특징
• 도박에 과도하게 집착한다.
• 자신이 바라는 흥분감을 얻기 위해 돈의 액수를 늘리려고 한다.
• 도박 행동의 조절이나 중지에 대한 노력이 반복적으로 실패한다.
• 도박 행동에 대한 제한을 시도할 때 안절부절못하거나 과민하다.
• 무기력감이나 우울감, 죄책감 등의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박을 한다.
• 도박으로 돈을 잃고 나서 이를 만회하기 위해 다시 도박을 한다.
• 자신이 도박에 빠졌다는 것을 숨기기 위해 가족, 치료사, 다른 사람에게 거짓말을 한다.
• 도박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도둑질, 지폐위조, 사기 등 불법행위를 시도하거나 도박자금조달이나 생계유지를 위해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 도박으로 인해 중요한 대인관계가 위태로워지거나 직업상 교육상 기회를 잃는다.
• 장기적인 만족을 추구하기 보다는 단기적인 만족을 추구한다. -
100 중 문제 92
92.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생애기술상담(Life Skills Counselling)
• 생애기술은 개인의 심리적 삶을 보장하기 위해 구체적 기술 영역에서 결정하는 일련의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 생애기술상담은 인지-행동적 접근의 통찰을 활용하여 사고와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며, 인본주의적 실존주의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현재와 미래 생활에 도움이 되는 보다 효과적인 기술들을 습득하도록 돕는 것이다.
• 개인 생애기술상담은 한 개인이 보다 넓은 공동체 속에서 생애기술을 획득하고, 유지하고, 발달시키는 것을 중재하는 활동 기본개념이다.
• 기술언어(Skills Language) : 생애기술 장점과 단점의 관점에서 내담자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말하는 것으로, 특히 내담자의 문제를 지속케 하는 구체적인 사고기술과 행동기술상의 단점을 규명하고 상담목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 내적 게임 : 내면에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즉 당신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고기술과 감정기술을 지칭하는 것이다.
• 외적 게임 : 어떤 외현적 행동을 하는가, 즉 행동기술을 의미. 행동기술은 관찰 가능한 행동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가보다는 어떻게 행동하는가와 관련된 것이다.
• 개인적 책임성 : 개인을 자신의 삶에 대한 책임감을 갖는 주체로 보는 것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삶을 창조적으로 만들 책임이 있다. -
100 중 문제 93
93.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 경험에 대해 개방적이다.
• 실존적인 삶을 사는 사람이다.
• ‘ 자신’이라는 유기체에 대해 신뢰한다.
• 경험적인 자유를 지니고 있다.
• 창조적으로 살아간다. -
100 중 문제 94
94.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아노미이론]
문화적 가치를 획득할 합법적인 수단이 없다고 판단될 때 아노미 상태(혼란, 무규범)가 일어나고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사회통제이론]
사회통제력이 약화되어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사회적 연대를 중요시 여김)[비행하위문화이론]
비행을 하위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의 관습적 문제로 보는 이론 -
100 중 문제 95
95.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집단상담자는 침묵하는 집단원이 집단에 참여하도록 권하고, 비언어적인 방법으로 의사소통하려는 시도를 알아차리며,
필요 없는 이야기를 늘어놓거나 집단 시간을 독점하는 집단원의 행위를 저지함으로써 집단의 시간이 공정하게 사용되도록 해야 한다. -
100 중 문제 96
96.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③ 무의식을 의식화하고 자아를 강화하는 것은 정신분석 치료의 목표이다.
합리적-정서적 상담 모델(REBT)
• 인간의 비합리적 사고 또는 신념이 부적응을 유발한다고 보고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대치하고자 하는 상담이 론이다.
•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개념으로 생각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인 인지과정의 연구로부터 도출된 개념 과 함께 행동주의와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나온 개념들을 통합 적용한 것이다.
•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 접근으로 내담자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 근을 강조한다.
• 스트레스 면역 : 환자를 인지적으로 준비시켜서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기르는 훈련으로 REBT 상담기술 중 하나이다. -
100 중 문제 97
97.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위트머(Witmer)는 미국 펜실베니아(Pennsylvania) 대학에서 1896년 세계 최초의 심리진료소(Psychological Clinic)를 설립하고,
1904년 임상심리학 강좌를 개설함으로써 임상심리학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
100 중 문제 98
98.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키츠너(Kitchener)의 윤리적 상담을 위한 5가지 원칙
• 자율성 존중(Respect of Autonomy) : 내담자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자율적인 존재이다.
• 무해성(Nonmaleficence) : 상담자는 다른 사람에게 해를 입히거나 위험에 빠뜨리지 않아야 한다.
• 충실성(Fidelity) : 상담자는 내담자를 돕는 일에 열정을 가지고 충실하게 임해야 하며, 약속을 잘 지켜야 한다.
• 공정성(Justice) : 상담자는 인종, 성별, 종교 등의 이유로 내담자를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
• 선의(Beneficence) : 상담자는 다른 사람에게 선행을 베풀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행동해야 한다. -
100 중 문제 99
99.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상담자는 내담자가 예상치 못한 시점 혹은 이미 언급한 종결 날짜 이전에 종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경우,
내담자가 무엇 때문에 그와 같은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상담 시간에 충분히 다루어야 하며 그 이유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해 내담자와 충분히 논의해야 한다. -
100 중 문제 100
100. 문제
정답오답입니다.힌트
-해설-
ABCDE 모형
• A(Activating Events) : 선행사건
• B(Belief System) : 비합리적 신념체계
• C(Consequence) : 결과
• D(Dispute) : 논박
• E(Effect) : 효과